목록HTML (3)
HuSpIn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Gw714/btsGMFgm2ag/Wtkqh8AuUWsShCQCmuK5Ik/img.png)
HTML 폼과 테이블 표를 만드는데 필요한 중요한 두 가지 개념 또는 두 그룹의 요소를 알아볼것이다. 여기서의 표는 2차원 데이터 테이블을 말한다. [1] HTML table 테이블 데이터는 대게 일부 데이터를 근사하고 명확하게 표시하는 방법이다. 하지만 모든 게 테이블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. 90년대와 2000년대 초로 돌아가보면 사실 table은 웹 사이트의 레이아웃에 사용되었었다. 레이아웃이라고 하면 좀 더 까다로운 컨텐츠를 이동하거나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. 하지만 현재의 레이아웃이 훨씬 더 좋다. 왜냐하면 table로 레이아웃을 잡는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. 더 이상은 이렇게 해서는 안된다. [1-1] tr, td, th 요소 먼저 이 요소들을 모두 외울 필요는 없다. (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hsvp/btsGxEa9ZQL/9GFewejkkhumrcDqmggIwK/img.png)
HTML의 *Semantic* 요소 * 참고 : Semantic(시멘틱)이란? 시멘틱(Semantic)의 사전적의미는 의미론적으로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. HTML에서 Semantic 요소라 함은 의미를 가진 요소를 뜻한다. HTML의 Semantic 요소에 대해 알아보기전 두 HTML 태그 요소를 알아보자. [1] , 앞에서 인라인 요소와 블럭 요소에 대해 간단히 알아 보았는데 div와 span을 통해 좀 더 심층적으로 알아보자. 먼저 인라인 요소와 블럭 요소가 뜻하는 바는 주어진 요소(태그)가 문서의 컨텐츠 흐름에 들어가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. 인라인 요소로써는 태그 처럼 한 줄을 전부 차지하는게 아닌 그 줄에 다른 요소가 있더라도 그 요소 라인에 표시되는게 인라인 요소의 특징이고, 블럭 요소는 한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.fwebp.q85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AzNsE/btsGsWvOsMY/ViYnPXLxkg4Qyyda1qpCyk/img.png)
HTML의 기본 요소들 HTML은 크게 두 가지 요소로 나눌 수 있다. 1) 블럭 요소 2) 인라인 요소 먼저 블록 요소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요소들을 알아보자. [ 단락 요소 ] : => HTML 요소중 p태그는 단락을 나타낸다. 단락은 블럭 수준의 요소이며, 특히 닫는 태그 전에 다른 블럭 수준 요소가 구문 분석되면 자동으로 닫힌다. [ 제목 요소 ] ~ : => h 태그는 제목을 나타내는 요소이며, h태그 자체를 글자 크기를 조절하는데에 사용하면 안되고, 크기를 변경하는건 CSS에서 변경을 한다. 태그는 한 페이지 당 한 개만 존재해야 한다. 그리고 항상 최상위 제목이어야 한다. [ 목록 요소 ] : => 순서가 지정된 항목 목록을 나타내는 요소. 일반적으로 번호가 매겨진 목록으로 랜더링이 된다. ..